반응형
숫자형(Number)이란?
-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을 말하며, 이런 값들을 저장하는 변수를 숫자형 변수라고 한다.
숫자형 타입들
- 정수형(Integer): 소수점이 없는 숫자형태로, 양의 정수(자연수)와 0, 음의 정수 모두를 포함한다.
# 10진수(Decimal)
int_var1 = 1
int_var2 = -10
# 8진수(Octal) 0o 또는 0O로 시작
int_octal1 = 0o34
int_octal2 = 0o25
# 16진수(Hexadecimal) 0x 또는 0X로 시작
int_hexa1 = 0x2A
int_hexa2 = 0XFF
# 응용
print(0b101) # 5 # 2진수
print(107) # 107 # 10진수
print(0o107) # 71 # 8진수
print(0x107) # 263 # 16진수
- 실수형(Float): 소수점이 존재하는 숫자 형태다.
float_var1 = 15.20
float_var2 = 4.24E10 # 4.24∗(10의 10제곱)
float_var3 = 4.24e-10 # 4.24∗(10의 −10제곱)
print(float_var1) # 15.2
print(float_var2) # 42400000000.0
print(float_var3) # 4.24e-10
- 복소수형(Complex): 실수와 허수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수
# 허수부 뒤에 j 나 J 사용
complex_var1 = 3 + 4j # 실수부 3 + 허수부 4j
complex_var2 = 4.53e1-7j # 실수부 4.53e1 + 허수부 -7j
complex_var3 = complex(5, 4)
print(complex_var1) # (3+4j)
print(complex_var2) # (45.3-7j)
print(complex_var3) # (5+4j)
숫자형 연산
# 사칙연산: +, -, *, /
a = 3
b = 4
print(a+b) # 7
print(a-b) # -1
print(a*b) # 12
print(a/b) # 0.75
# % 연산자: 나눗셈 후 나머지 반환
7 % 3 # 1
3 % 7 # 3 # 3 % 7 = 몫 0 + 나머지 3
# // 연산자: 나눗셈 후 몫 반환
7 / 4 # 1.75 # 그냥 나눗셈
7 // 4 # 1 # 나눗셈 후 몫만 반환
# ** 연산자: x의 y제곱
a = 3
b = 4
print(a ** b) # 81
참고. 숫자 개념 정리

- 양수(Positive Number)/자연수(Natural Number): +
- 음수(Negative Number): -
- 정수(Integer): +, 0, -
- 정수가 아닌 유리수(Non-integer Rational Number): 분수(Fraction)/소수(Decimal)
- 유리수(Rational Number): 분수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숫자로 유한함 (ex. 1/1 = 1)
- 무리수(Irrational Number): 분수로 표현할 수 없는 숫자로 무한함 (ex. 원주율같이 소수점이 끝없이 펼쳐지는 숫자)
- 실수(Real Number): 실제로 존재하는 숫자
- 허수(Imaginary Number): 허구의 숫자로 실제로 존재 할 수 없는 숫자 (ex. i)
- 복소수(Complex Number): 실수와 허수를 합친 숫자로 모든 숫자 표현 가능
Reference
반응형
'Data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파이썬 불리언 자료형 - 참과 거짓, 예시, 함수 (0) | 2023.06.17 |
---|---|
[Python] 파이썬 문자 자료형 - 인덱싱, 슬라이싱, 내장함수들 (1) | 2023.06.17 |
[Python] 파이썬 데이터 타입 - 자료형 구분, 데이터 형식 변환 (0) | 2023.06.17 |
[Python] 파이썬 기본 연산자 - 산술,비교,할당,논리 (0) | 2023.06.17 |
[Python] 파이썬 변수 정의 및 할당 (0) | 2023.06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