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프로그래밍 언어(Programming Language)란?
- 프로그래밍 언어란 사람과 컴퓨터가 서로 의사교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.
- 프로그래밍 언어는 크게 컴퓨터 친화적인 저급언어와 사람 친화적인 고급언어로 나뉜다.
저급언어
- 기계어: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언어로 0과 1의 이진수로만 이루어져 있다. 컴퓨터가 이진수를 이해한다는 것을 정확히 말하자면 전기의 강도를 전압이 작으면 0이고 크면 1로 읽는다는 것을 뜻한다.
- 어셈블리어: 기계어 명령어를 사람이 좀 더 알아보기 쉽게 알파벳 기호로 표시하는 것이다.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어셈블러(Assembler) 번역기를 거치면 기계어가 된다.
고급언어
- 고급언어에는 C, Java, Python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존재하는데,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개념과 구조를 갖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에 가까운 구문 규칙을 가지고 있다.
- 각 언어마다 고급 언어를 번역해주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크게 컴파일러(Compiler)와 인터프리터(Interpreter)가 있다.

프로그래밍 번역기 종류
인터프리터(Interpreter)
- Python 등의 고급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한 줄씩 기계어로 변환시켜주는데, 즉 해석과 동시에 프로그램을 실행한다.
- 한 단계식 테스트와 수정을 하며 진행하기에 대화형 언어로서는 적합하지만, 그만큼 실행 시간이 길어져 속도가 늦는 단점이 있다.
컴파일러(Compiler)
- C/C++, Java 등의 고급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한 번에 기계어로 변환시켜주는데, 즉 필요시에만 한 번에 실행된다.


반응형
'Programming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프로그래밍 구조 - 웹서버와 WAS, 서버와 클라이언트, HTTP 프로토콜 (1) | 2023.10.28 |
---|---|
개발 버전 정보 표기법 - 유의적 버전 명세(Semantic Versioning) (0) | 2023.10.22 |
절차지향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정의와 차이점 (0) | 2023.08.21 |
디렉터리 구분과 파일 경로 - 루트와 홈, 절대와 상대 (0) | 2023.08.21 |
데이터 기반 AARRR 분석 기법 (Growth hacking) (0) | 2023.08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