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개발 버전 정보
- 버전 정보는 메이저 버전 번호, 마이너 버전 번호, 패치 버전 번호로 구성된다.
- major: 기존 버전과 호환되지 않게 API가 바뀌면 “주(主) 버전”을 올림
- minor: 기존 버전과 호환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는 “부(部) 버전”을 올림
- patch: 기존 버전과 호환되면서 버그를 수정한 것이라면 “수(修) 버전”을 올림
major.minor.patch
주(主).부(部).수(修)
개발 버전 정보 표기법
- 버전 정보 앞에는 기호를 부여하여 업데이트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.
- ~ (틸트)는 패치 버전 범위 내에서 업데이트한다. 예를 들어 ~0.0.1는 0.0.1 이상 0.1.0 미만 버전을 의미한다.
- ^ (캐럿)는 마이너 버전 범위 내에서 업데이트한다. 예를 들어 ^1.0.2는 1.0.2 이상 2.0 미만 버전을 의미한다.

Reference
반응형
'Programming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프로그래밍 구조 - 웹서버와 WAS, 서버와 클라이언트, HTTP 프로토콜 (1) | 2023.10.28 |
---|---|
프로그래밍 분류, 저급/고급 언어 (feat.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) (0) | 2023.08.21 |
절차지향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정의와 차이점 (0) | 2023.08.21 |
디렉터리 구분과 파일 경로 - 루트와 홈, 절대와 상대 (0) | 2023.08.21 |
데이터 기반 AARRR 분석 기법 (Growth hacking) (0) | 2023.08.21 |